중세 봉건제 사회는 4세기 부터 14세기 무렵까지 약 천 년 정도의 시기이다.중세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면 고대 노예제 사회 말기에 있었던, 역사적으로 매우 독특한 사건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해야 한다. 이 이야기는 1세기 부터 4세기 까지 사 백 년 동안의 이야기 이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생겼다.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그리고 방금 1세기 부터 4세기 까지 에 대해 이야기 하겠다고 했다. 도대체 세기를 나누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진 것인가? 그것은 잘 알려진 대로 예수라는 인류 역사상 가장 독특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의 탄생 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예수의 탄생을 1년으로, 1세기의 시작으로 결정한 것 이다.
역사적 사료 적 으로 고려하면 1년이 정말 예수가 탄생한 때인지는 아직 까지도 의심스럽다고 하며, 역사 학자들은 기원전 4세기에서 기원 후 6년 사이에 예수가 탄생 했을 것 이라고 추정 한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몇 년에 태어 났는 지의 문제는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몇 년에 태 어 났는지 불명확한 예수라는 인물의 영향력이다. 도대체 생전에 무슨 일을 했기에 시대를 구분 하는 기준점이 되는 역 활 까지 맡게 된 것일까?
그리스도 교 도 가 아닌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예수라는 인물에 대해 친숙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지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불교도 라도,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 이라도, 유교적 전통을 따르는 사람이라도 최소한의 내용은 알아두어야 편리 할 것이다. 물론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예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는 말은 불편한 강요로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일류의 역사는 생각보다 불공평 했다. 근대와 현대는 백번 양보하더라도 서구 중심의 역사이며, 근,현대 시기의 동양은 항상 지배 받고 교화 되어야 하는 식민지의 입장에 놓여 있었다. 세게의 주인공은 안타깝게도 서양인임이 분명한 것 같다. 중국이 떠오르고 있으며, 세계의 패권을 놓고 미국과 겨룰 것이라는 분위기가 동 아시아를 뜨겁게 달구고 있으나, 중국의 변방에 붙어 있는 한국에서는 아직도 취업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고, 할리우드 영화를 보며, 서구에서 들어온 종교인 기독교와 천주교를 믿고, 티비 나 잡지 광고의 이상적인 모델로 서구인이 등장 하는 것을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감상한다.
이러한 서구의 영향력이 문제인지 아닌지는 각자가 판단할 몫이다.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실로서의 서구의 영향력이다. 앞에서 말 한 바와 같이 근대와 현대의 세계는 서구의 세계였던 것이 사실이다. 만약 우리가 세계의 역사에 대해 알고자 한다면 당연히 서구에 대해 이해 해야 한다. 그리고 서구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문화와 종교의 뿌리를 알아야 한다.
서구 사회의 문화와 역사를 관통하는 근원적인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헬레니즘과 헤브라이 즘이 그것이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 로마에 뿌리를 두고 있는 역사적 사조로서, 우리가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 하면 떠오르는 제우스나 아폴론 등의 다신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다. 반면 헤브라이즘은 이스라엘 민족과 야훼나 여호와 라고 불리는 유일신인 하나님과의 계약에 대한 역사적 흐름으로서, 우리가 그리스 도교 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들을 말한다. 쉽게 정리하면 서구는 두 가지 문화를 뿌리로 한다. 그리스, 로마 신화와 그리스 도교. 만약 우리가 세계의 역사에 대해 이해하려 한다면, 서구에 대해 이해해야 하고 서구 사회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리스 도교를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중세를 이야기 하기 전에 그리스 도교 의 핵심 인물인 예수와 유대인들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1세기가 되면 이스라엘의 나사렛 이라 불리는 지역에서 예수라는 인물이 성장 한다. 이 시기의 이스라엘 민족은 거대 제국으로 성장한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 있었는데, 이때의 로마는 지중해를 바탕으로 세계에 패권을 행사하는 제국으로서 현대의 미국의 영향력에 버금가는 국가였다. 반면 이스라엘 민족은 정치적으로는 로마 제국의 통치를 받았고, 문화적으로는 신과의 계약인 율법을 중시하는 유대교의 문화권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었다. 쉽게 말해서 이스라엘은 로마의 식민지였고,유대교는 이스라엘 민족의 민족 종교 였다. 그리고 예수는 이러한 식민지 이스라엘에서 탄생한다.
일 억 원 짜리 빵 공장을 소유한 사람과 일억 원 어 치 의 빵을 소유한 사람 중에 배우자를 선택해야 한다면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라 는 질문에 우리는 쉽게 전자 을 선택할 것임을 알아 보았다. 아무리 빵을 좋 와 한다고 하더라도 일 억 원 어 치 의 빵을 선택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부 의 질적 차이를 구분 할 수 있다. 빵은 먹으면 사라지고 없지만, 빵 공장은 빵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낼 것이고 결국 나를 부유하게 만들어줄 것이다.빵 공장은 생산 수단이고, 빵은 잉여 생산물이다. 생산 수단은 구체적으로 공장, 땅, 건물, 기계, 거대 자본 등으로, 이것들은 내의자, 옷, 쌀, 가구, 자동차와는 다르다. 생산 수단은 나에게 부를 가져다주는 수단이 되었지만 잉여 생산물은 내가 소비하면 사라진다. 그래서 생산 수단이 문제가 된다. 누군 가가 생산 수단을 독점하면 그 사람은 막대한 부를 획득하지만 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못하면 그 사람은 다만 자신의 몸뚱이를 노동력으로 팔아 생계를 유지 할 수밖에 없다. 빈부 격차가 커지는 원인은 잉여 생산물이 아니라 생산 수단에 있는 것이다.생산 수단이 발생 시키는 사회적 영향력 때문에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이 생산 수단을 가지지 못하게 했다.
'역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 봉건 사회 세번째 (3) | 2024.01.27 |
---|---|
중세 봉건제 사회 둘 (0) | 2024.01.27 |
고대 노예제 사회 (4) | 2024.01.27 |
원시 공산 사회 둘 (2) | 2024.01.27 |
원시 공산 사회 하나 (2) | 2024.01.27 |